부제:Study on Centella Asiatica Use
Centellaasiatica (L) Urban is a plant in the family Apiaceae. It is a perennial herb, and the dried whole herb is used in medicine. It is cold in nature, bitter and pungent in taste; it has the effects of clearing away heat and dampness, reducing swelling and removing toxins, activating blood circulation and resolving blood stasis, and inducing diuresis. It is mainly used for treating abdominal pain caused by wind-heat, diarrhea caused by summerheat, dysentery, damp-heat jaundice, swelling and toxin caused by boil and abscess, and bruise and injury. It is clinically used for treating infectious hepatitis, epidemic cerebrospinal meningitis, and acute glomerulonephritis. Modern pharmacological studies have shown that it also has anticancer, antidepressant, and gastrointestinal and cardioprotective effects. The latest research on its ingredients and pharmacological effects at home and abroad is summarized as follows:
화학 성분 1
1. 1 Triterpenoids
트리테르페노이드는 센텔라아시아티카의 주요 활성 성분이다이 나뉘고 있고, 두 가지 범주로 하나는 α-amyrin-type triterpenoid saponins, 주로 asiaticoside를 포함 한 thankuniside, isothankuniside, madecassoside, brahmoside, brahminoside, 등이 있습니다.;다른 하나는 α-amyrin-type triterpenoid 산, 주로을 포함 한 아시아 산성, Madasiatic 산성, Brahmic 산성, Brahminoside, Centic 산성, Centoic 산성, Cenellic 산성, Indocentoic 산성, 등 [1].센텔라아시아티카의 트리테르페노이드 함량은 원산지와 수확 계절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1.2 휘발성 오일 성분
센텔라아시아티카는 향이 강하고 다양한 휘발성 오일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중국에서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를 이용해 45개나 되는 종류를 분리, 확인했다.caryophyllene를 포함 해, 더 높은 콘 텐 츠를 3% farnesol, 3, 7, 11-tri-methyl-(E, E)-2, 6, 10-dodecatrien-1-ol-3-eicosyne, Elemene, 1-heptadecanol, longifolene, copaene, 1, 2, 4 α,, 5, 6, 8 α-octahydro-4, 7-dimethyl-1-(1-methylethyl)-naphthalene, 등 [2].
1.3기타 재료
Centella asiatica에는 인체에 필수적인 Mn, Fe, Cu, Zn, Sr, Co, Cr 등의 미량원소가 풍부하며 [3], quercetin, kaempferol, glucose, rhamnose glycosides [1] 등의 플라보노이드도 풍부하다.센텔라아시아티카에는 메소이노시톨, 센텔로오스, 테트라테페노이드 (주로 카로티노이드), 엽록소, 바닐릴산, 아미노산 등도 함유되어 있다 [1].
최근 몇 년 동안에, 많은 다른 재료들이에서 발견 됐 Centella asiatica, 같은 β-sitosterol, behenyl octanoate, kaempferol, 케 르 세 틴 카로 티 노이 드, vanillic 산성, 낙산, terminolic 산성, asiaticoside, 아시아 acid-B, ferulic 산성, bayogenin, 3 β-β-23-trihydroxyolean-12-en-28-oic 산성, 3 β 6에서 β-23-trihydroxyurs-12-en-28-oic 산성, D-gulonic 산성 [4], centellin, asiaticin, centellici-n [5].Centella asiatica monosaccharide와 α-L-rhamnose들이 최근 로부터 고립 되 Centella asiatica [6]을 처음이다.
2 약리학적 활성 (Pharmacological activity)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2.1
Qin Leping 등은 Centella asiatica 로부터 45개의 휘발성 오일 성분을 분리하고 쥐에서 reserpine에 의한 눈꺼풀 처짐 및 체온 강하에 미치는 영향과 쥐 각막의 자극에 의한 가장 긴 시간의 부동 상태를 실험하여 활성을 측정하였다.그 결과, Centella asiatica volatile oil은 쥐에서 reserpine에 의한 눈꺼풀 처짐 및 체온 저하에 상당한 길항효과가 있으며, 생쥐 각막의 자극에 의한 최대 부동 기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어 실험적인 우울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게다가,센텔라 아시아신경통은 또한 신경학적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다.그것의 에탄올 추출물 (0·1g/ml)은 신경 성장 인자가 있는 인간 SH-SY5Y 세포 시냅스의 성장을 현저히 촉진 할 수있다.Madecassoside는 SD 쥐에서 회복 시간을 줄이고 축삭 재생을 촉진함으로써 손상된 뉴런의 회복을 가속화 할 수 있습니다.7] Gadahad 씨는 Centella asiatica 잎 추출물이 성숙한 쥐 해마 CA3 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고 Centella asiatica 추출물이 신경세포 성장을 상당히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8] 무작위 이중맹검 실험에서 28명의 노인 지원자들이 매일 센텔라아시아티카 추출물을 섭취했다.2개월 후, 자원봉사는 '인지 능력 (cognitive ability)과 기분 조절 능력 (mood regulation ability)을 측정하였다.그 결과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이 건강한 노인의 노화와 관련된 인지 기능 저하 및 기분 조절 기능 저하를 늦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그 작용 메커니즘은 아직 더 연구가 필요하다 [9].
심혈관계에 미치는 효과 2.2
MC는 심근 허혈-재관류 손상에 중대한 예방 및 보호 효과가 있습니다.Li Guigui 등은 허혈 전에 hydroxy asiaticoside(MC)를 정맥으로 주입하고, 심전도, 심전도, 혈류역학 및 기타 지표를 여러 시점에 투여하는 rabbit myocardi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MIRI;정량적 조직화학적 염색을 이용하여 심근경색 부위를 계산하였다;검출된 효소활성 및 혈청 내 MDA 함량;ELISA를 통해 혈청 내 c-반응성 단백 (CRP;TUNEL 법으로 검출된 심근세포 사멸 (cardiac cell apoptosis;그리고 apoptosis 관련 단백질 Bcl-2를 SP 방법으로 검출하였다.그 결과 MC의 사전 투여시 좌심실 및 지구성 심근경색의 면적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심전도 개선, 심기능 개선, LDH와 CK의 상승을 감소시키는데 일정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MC는 또한 CRP의 상승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MDA 함량을 감소시키면서 SOD 효소 활성을 증가시킨다;그리고 MIRI에 의한 심근세포 사멸을 현저히 억제하며, Bcl-2발현을 상향조절한다 [10,11].
2.3위장 보호 효과
Centella asiatica 추출물 can significantly reduce ethanol-induced gastric mucosal damage, reduce vascular permeability, and protect the gastric mucosa. Centella asiatica decoction 60g (raw medicine) /kg and 30g (raw medicine) /kg administered to the duodenum can inhibit pyloric ligation ulcers and stress ulcers in rats, respectively. Chen Baowen et al. [12] used Centella asiatica 추출to study the mechanism of its gastroprotective effect and found that 4 hours after pyloric ligation in rats, the amount of gastric juice secretion, gastric juice acidity and gastric acid secretion tended to increase rather than decrease, proving that the protective effect did not work by inhibiting gastric acid secretion. Centella asiatica extract at 100–800 μg/ml can increase cell survival rate in a dose-dependent manner, suggesting that Centella asiatica extract has a direct protective effect on gastric mucosal cells in vitro, and this effect may be one of the mechanisms by which Centella asiatica extract prevents damage to gastric mucosal cells.
위운동성 연구 결과 십이지장에 10 g (한약)/kg의 Centella asiatica 탈지약 투여시 쥐의 체내 위운동성이 억제되었다.In vitro 실험에서는 Centella asiatica 추출물이 분리된 쥐의 위에서도 위 운동성을 억제하였다.
세포독성 및 항암효과 2.4
Centella asiatica 추출물은 종양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빈크리스틴과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종양화학요법시 생화학적 조절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KB, KBv200, MCF-7 및 MCF-7/ADM 세포에 centella asiatica 추출물의 IC50은 각각 (1·11±0·13), (1·82±0·08), (1·58±0·15) mg/ml 및 (3·25±0·46) mg/ml 이며, KBv200과 MCF-7/ADM 세포는 해당 모세포와 유사한 약물민감성을 보였다.asiaticoside를 처리한 KB 세포는 apoptotic cell에서 특징적인 변화를 보였다.아시아티코사이드와 빈크리스틴의 조합은 다양한 종양세포에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보였다.복합약물군에서 KB 세포의 세포사멸율과 Bcl-2단백 인산화 수준은 단일약물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복합약물군에서는 활성화된 caspase-3단백질만이 검출되었다.아시아티코사이드와 빈크리스틴을 병용한 군에서 S-G2/M 단계에서 차단된 KB 세포의 비율 및 Cyclin Bl 단백질의 발현 수준은 약물만 사용한 군에 비해 높은 반면, P34cdc2단백질의 발현은 약간 감소되어 아시아티코사이드가 빈크리스틴의 항암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3].
2.5 항균효과
센텔라아시아티카는 체내 및 체외에서 항균 활성이 좋다.장선화 등은 임상원에서 분리한 표준균주와 병원성균주에 대한 asiaticoside의 in vitro 항균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late에서 이중희석법을 이용하였다;그리고 asiaticoside&의 in vivo 효능을 연구하기 위해 방광 상승 신장 감염의 생쥐 모델을 사용하였다#39;의 항균 효과.그 결과 asiaticoside 항균 37 표준에 반대하는 활동과 임상을 보여주 격리, 다양 한 내성 박테리아에 대해 특히는 황색 포도 상구 균을 포함 한 (MRSA), 포도 상구 균 메 티 실린 (MRSE), 5 aminoglycoside 항생제에 내성, 그리고 코 faecium를 생산하는 효소 병원균, 그리고 extended-spectrum β-lactamase-producing 대장균,Klebsiella pneumoniae와 Acinetobacter calcoaceticus, 그리고 piperacillin-resistant Pseudomonas aeruginosa는 모두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Centella asiatica saponin은 생쥐에서 상승요로감염을 일으키는 대장균 26의 정리에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 ED50이 1·87 g/kg [1.4]는 centella asiatica saponin이 그람음성균에 의한 감염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연구 결과에서도 그런 사실이 밝혀졌습니다asiaticoside inhibits inflammatory factors such as NO, TNF-α and IL-6 [15,16]. In a study of the effect of asiaticoside on the release of cytokines by LPS-induced RAW 264∙7 cells in mice, the results showed that asiaticoside inhibited the release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and IL-6 induced by LPS in RAW 264∙7 cells. This provides a basis for whether asiaticoside also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LPS-induced sepsis in mice and whether it can be used in the treatment of clinical sepsis. Whether asiaticoside has an effect on other inflammatory factors induced by LPS, such as COX-2 and the inflammatory inhibitory factor IL-10, has yet to be confirmed by further experiments [17].
섬유아세포에 대한 효과 2.6
Centella asiatica 추출물은 상처 치유를 효과적으로 촉진 할 수 있으며 화상 흉터 및 경화증 등 섬유성 질환에 치료 효과가 뚜렷합니다.
시줄린 등은 아시아티코사이드가 체외에서 배양한 섬유아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후 섬유아세포의 증식이 활발하지 않고 단백질을 합성하고 분비하는 능력이 감소되었으며 미토콘드리아에 변화가 있음을 발견했다.이러한 변화는 콜라겐을 합성하는 섬유아세포의 기능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투여 후 섬유아세포의 DNA 합성이 감소하였고, 성장이 억제되었다.이는 Centella asiatica 추출물이 섬유아세포의 분열과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섬유아세포에 의한 콜라겐 단백질의 합성에 현저한 억제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18,19].
현대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Centella asiatica 및 그 주요 활성 성분은 섬유 모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transaminase의 활성과 산 mucopolysaccharides 및 collagen의 함량을 줄임으로써 ECM 및 섬유 성분의 과도한 증식을 줄일 수 있습니다.Pan Shu 등은 유세포분석법, 면역세포화학 및 Western blot 기법을 이용하여 농도측정법 (densitometric scanning analysis)과 함께 asiaticoside 가 흉터섬유모세포의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과 인산화한 Smad 2 및 Smad 7의 변화를 관찰하고 흉터치료에서 asiaticoside의 기전을 구명하였다.그 결과 asiaticoside는 주로 섬유세포의 증식을 차단하고 역할을 하는 Smad 2전달신호 Smad 7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TGF2B의 병리적 효과를 억제하였다.Asiaticoside는 세포주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세포사멸을 일으키지 않았다.Smad3에 대한 아시아티코사이드의 효과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 [20].
Qi Shaohai et al. explored the mechanism of Centella asiatica saponin on burn keloid through in vitro scar fibroblasts and animal models of keloid transplantation in nude mice. The results showed that after administration, the number of scar epidermal cells, fibroblasts, and collagen fibers decreased,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of fibroblasts was significantly loose and the number decreased, with exocytosis, mitochondria expanded or vacuolated, and some fibroblasts showed signs of apoptosis such as chromatin edge conglomerates or dense chromatin in the nucleus, increased cytoplasmic density but intact cell membrane. There were fewer macrophages and mast cells, and the blood vessels in the stroma were occluded and the number of them decreased. The results showed that Centella asiatica extract (asiatin) exerts its effect by blocking the growth and proliferation of fibroblasts and inhibiting their ability to synthesize and secrete collagen [21].
Suzhou 등은 레이저 수술 후 얼굴 병변이 있는 10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약 사용량을 비교한 결과 아시아티코사이드 크림을 사용한 환자의 상처 치유 시간과 상처 부위 점수가 대조군보다 더 좋았고,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22].Yoshiyu-기성 et al. 발견의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행동을 통해 그런 낮은 용량의 asiaticoside (10 pg/ml 100 ng/ml)의 수준을 높 일 수 있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 피 기능 성장 인자 (VEGF),라 혈관과 interleukin (IL)-1 β.Asiaticoside (10 pg/ml~100 ng/ml)는 HaCaT 세포에 의한 MCP-1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으나 VEGF의 생성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다.그것은 또한 IL-1의 생산을 촉진 할 수 있을들고 있는 THP-1 대식 세포에 β MCP-1, 하지만 MCP-1 없이 대식 세포에 비슷 한 효과 가 없 되어 있 거나 lipopolysaccharide 나르고 있다.이러한 연구를 통해 센텔라 아시아티카 &의 메커니즘을 알 수 있다#39;s의 화상에 대한 치료 효과는 각질형성세포에서 MCP-1의 발현을 증가시켜 VEGF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일 수 있다.동시에, asiaticoside IL-1의 생성을 촉진시 켜 β MCP-1을들고 있는 대식 세포에, 그렇게 함 으로써 소모 사이트에 있는 혈관 신생을 향상 시키는 [23].
2.7기타 효과
Madecassoside can inhibit LPS-induced hyperalgesia and reduce the sensitivity of mice to painful stimuli, with a significant analgesic effect. The effect is most pronounced in the 40 mg·kg-1 group. Hydroxycentella asiatica saponin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yeloperoxidase (MPO) in mouse brain tissue and the levels of plasma TNF-α and IL-6 in a dose-dependent manner. It is speculated that its effect is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TNF-α and IL-6 expression, and may produce a synergistic effect by inhibiting MPO, which is involved in inflammation [24].
연구 결과 asiaticoside 가 lps로 유발된 급성 폐 손상 (ALI)에 보호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각 복용 량 그룹의 asiaticoside IL-6의 dose-dependent 한 감소와 TNF-2을 보여주 α에서 LPS-induced 급성 폐 부상 모델의 수준 (BALF), 그리고 IL-10 식에 증가 한 것이 있습니다.이러한 보호 효과는 asiaticoside에 의한 염증 인자 간의 균형 유지와 관련이 있다.영향을 받는 구체적인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5].
Centella asiatica granules (CTA) 가 편측요로폐색증 (UUO)을 가진 쥐의 신장조직에서 결합조직성장인자 (CTGF)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고용량 CTA 군이 UUO 군보다 유의하게 신관 간질성 섬유증이 우수하였다.면역조직화학적 SP 및 RT-PCR 검사 결과 CTA down-regulated 된 CTGF 발현을 보였다.고용량 CTA 군이 중용량 및 저용량 군보다 CTGF 발현 억제가 우수하여 (P<0.01), CTGF 발현 억제의 생물학적 효과 간에 명확한 용량 의존적 관계를 나타내었다.이는 CTA 가 CTGF 발현을 길항함으로써 신장관 간질섬유증을 감소시켜 신부전을 지연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26].
프로게틴은 피임약에 많이 쓰이지만 어느 정도의 기형성과 발암성을 가지고 있다.시디크 YH는 프로게틴과 센텔라아시아티카 추출물의 시너지 효과를 연구했다.본 실험은 4가지 다른 농도의 Centella asiatica 추출물 (1∙075 × 10-4, 2∙125 × 10 4, 3∙15× 10 4 및 4∙17× 10 4 g/ml, 배양액 내 농도)이 분리된 림프구에서 20 mM와 30 mM progesterone의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염색체 돌연변이와 자매 색소 교환을 지표로 사용하였다.그 결과 센텔라 아시아티카 추출물이 프로게스테론의 독성을 동심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27].
2.8 독성의 부작용
쥐와 토끼에서는 0.04-0.05 g/kg asiaticoside를 피하 주사하면 독성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0.2-0.25 g/kg은 출혈시간을 증가시켜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1 g/kg asiaticoside를 쥐와 토끼에 의해 경구 투여하였다.Jorge OA 등은 3명의 여성 (61세, 52세, 49세)에게 아시아티코사이드를 장기간 투여한 결과 각각 30일, 20일, 60일 후 간 손상을 유발한 것으로 나타났다.중단 및 회복 후 다시 아시아티코사이드 투여 후 간 손상이 다시 나타났다 [28].Chitturi S et al. [29] 또한 Centella asiatica 가 어느 정도의 간 독성을 가지고 있으며,이 독성은 triterpenoid 성분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센텔라아시아티카 (Centella asiatica)의 기적적인 약리학적 효과는 국내 학자들로부터 광범위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그러나 약리학적 효과를 발휘하는 센텔라아시아티카의 주요 성분은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소사이드와 같은 펜타시클리크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이며 다른 한약들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함량이 낮다.최근에는 센텔라아시아티카 (centella asiatica)를 재배하는 새로운 방법이 등장해 주성분의 함량을 높이고 있다.다양한 성장 촉진 인자를 실험한 결과, Kim OT 등은 methyl jasmonate와 효모 추출물만이 asiaticoside의 형성에 도움이 되며, methyl jasmonate의 농도가 0∙1 mM 일 때 asiaticoside의 형성이 최대치까지 도달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으며, Centella asiatica를 연구하기 위해 털뿌리 배양기술을 이용한 결과, methyl jasmonate 가 asiaticoside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30,31].적극적인 재배, 효과적인 성분 분리, 심도 있는 약리학적 활성 연구를 통해 센텔라 아시아티카 (Centella asiatica)를보다 합리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허밍팡, 멍쟁무, Wo Lianqun.Centella asiatica [J] ∙ 중국제약대학교 논문집 2000, 31 (2):91-93 ∙
[2] Qin Luping, Ding Ruxian, Zhang Weidong 등 ∙ Centella asiatica의 휘발성 오일 성분 분석 및 항우울증 효과에 대한 연구 (J) ∙ 제2 군의대학교 논문집, 1998, 19 (2):186-187 ∙
왕스자오, 유옌링, 천야오 등이 있다.Centella asiatica의 미량원소 비교연구 (J.광동성 미량원소과학, 2000, 7(1):41-43.
[4] 유콴린, 가오원위안, 장옌원 외.갯장어 (Centella asiatica)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 (J.중국모성학회지, 2007, 32 (12):1182-1184.
[5] 시디키 BS, 아슬람 H, 알리 세인트 외.센텔라 아시아티카의 화학 성분.J Asian Nat Prod Res, 2007, 9(3-5):407-414.
[6] Liu Yu, Zhao Yuqing ∙ Centella asiatica (J) ∙ 중국현대전통의학, 2008, 10 (3):7-9.
[7] Soumyanath A, Zhong YP, Gold SA, 외.센텔라 아시아티카 (Centella asiatica)는 경구 투여시 신경 재생을 가속화하고 체외에서 뉴라이트 신장을 증가시키는 여러 활성 분획을 포함한다 [J].J Pharm Pharmacol, 2005, 57(9):1221-1229.
[8]Gadahad 씨,Rao M,Rao G ∙ 해마 CA3neuro-nal dendritic arborization by Centella asiatica (Linn) 신선 한 잎 extract 성충쥐에서의 치료 (treatment in adult rats[J]∙J Chin Med Assoc,2008,71(1):6-13∙
[9]Wattanathorn J,Mator L,Muchimapura S 등 ∙ 센텔라 아시아티카 (Centella asiatica) ∙J Ethnopharmacol 투여에 따른 건강한 노인 자원봉사자의 인지와 기드의 긍정적 조절,2008,116(2):325-332∙
[10]리 GG, 비안 GX, 렌 JP 등.토끼의 심근허혈-재관류 손상에 대한 madecassoside의 보호효과.[J]다.Acta Pharmacologica Sinica, 2007, 42(5):475-480.
[11] Bian GX, Li GG, Yang Y. Madecassoside는 regional ischemia induced heart infarction in rat [J]에서 허혈 재관류 손상을 감소시킨다.Biol Pharm Bull. 2008, 31(3):458-463.
천바오언, 지바오안, 장쉐즈 등 (12명)Centella asiatica 추출물의 위점막에 대한 보호효과와 그 기전 [J].중국소화학회지 1999, 19(4):246-248.
[13] 황윤홍, 장선화, Zhen Ruixian 외.asiaticoside에 의한 종양세포의 apoptosis 유발 및 빈크리스틴의 항암효과 증진.암, 2004, 23(12):1599-1604.
[14] 장선화, 유란샹, 젠 루이시안 외.asiaticoside의 항균효과와 실험요로감염에 대한 치료효과.중국신약학회지, 2006, 15(20):1746-1749.
[15] Guo JS, Cheng CL, Koo MW ∙ 쥐에서 위궤양 치유시 Centella asiatica 물 추출물과 asiaticoside의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대한 억제 효과 [J] ∙ Planta Med, 2004, 70 (12):1150-1154.
[16] Zarbock A, Schmolke M, Spieker T 등.급성 요독 그러나 신장 염증이 아닌 무균성 급성 폐 손상을 약화시킨다:요독 호중구를 위한 중요한 역할 [J].J Am Soc Nephrol, 2006, 17(11):3124-3131.
장시안, 장주오, 리샤오빙 외 17명.LPS에 의해 자극된 RAW264.7세포에서 asiaticoside 가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J.약리학과 한의학 임상, 2008, 24(1):23-25.
[18] 왕루궈, 왕진주, 유상빈 등.섬유아세포의 DNA 합성과 collagen 합성에 미치는 아시아티코사이드 (asiaticoside)의 영향 (J.Fujian Colleg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01, 11(2):41-42.
[19] Xie Julin, Li Tianzeng, Qi Shaohai 외 ∙ 아시아티코사이드가 배양된 섬유아세포에 미치는 영향 ∙ Sun Yat-sen University Journal, 2001, 22 (1):41-43, 47 ∙
[20] 판수, 이천쟁, 이예양 등.asiaticoside 가 증식성 흉터 섬유아세포의 증식과 Smad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대한성형재건외과학회지, 2004, 18(4):291-294.
[21] 치샤오하이, 시줄린, 리톈쩡 외.화상 후 비대 흉터에 대한 asiaticoside의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중국화상학회지 2000, 16(1):53-56.
[22] 쑤저우, 진팡, 동지영 ∙ 아시아티코사이드 크림을 이용한 레이저 수술 후 안면 병변 51 례 치료보고 (J) ∙ 산동의학, 2005, 45 (16):34.
[23]Yoshiyuki Kimura, Maho Sumiyoshi, Kei ichi Samukawa, 외 3명 저 용량의 asiaticoside의 촉진작용 및 그 메커니즘 [J]∙ Eur J Pharmacol,2008.584(2-3):415-423.
[24] 당다천, 장주오, 이완평 외.아시아티코사이드 (asiaticoside) 가 LPS에 의한 생쥐의 통증민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J.루저우의대논문집 2008, 31 (1):25-28.
[25] Zhang Zhuo, Qin Dailian, Wan Jingyuan ∙ LPS에 의해 유발된 급성 폐 손상을 가진 생쥐에서 asiaticoside 가 염증 인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J) ∙ 중국 Materia, 31 (4):547-549.
[26] Zhang Zhu, Zhao Li, Wang Bin ∙ Centella asiatica 과립이 편측요도결찰증을 가진 쥐의 신장조직에서 결합조직 성장인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J) ∙ 한의학 통합학회지, 2008, 9 (2):118-121.
[27] 시디크 YH, 아라 G, 베그 T, 파이잘 M 등.배양된 인간 림프구에서 유전독성 손상을 유발한 cyproterone acetate에 대한 Centella asiatica L 추출물의 항유전독성 역할 (J.Toxicol In Vitro, 2008, 22(1):10-17.
[28] 호르헤 오아, 호르헤 아드.Centella asiatica의 섭취와 관련된 간독성.Rev Esp Enferm Dig, 2005, 97(2):115-124
[29] 치투리 S, 파렐 GC.간 독성 살빼기 보조제와 다른 한방 간 독소.J Gastroenterol Hepatol. 2008;23(3):366-373.
[30] Kim OT, Kim MY, Hong MH 외.elicitors에 의한 Centella asiatica (L. Urban)의 전체 식물배양에서의 asiaticoside 축적 자극.Plant Cell 렙 2004;23(5):339-344.
[31] Kim OT, Bang KH, Shin YS 외.methyl jasmonate [J]에 의해 유도된 Centella asiatica (L ∙ Urban)의 털뿌리 배양으로부터 asiaticoside의 생산이 향상되었다.Plant Cell Rep, 2007, 26(11):1941-1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