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 항산화제 로즈마리 추출물은 식품 보존에 어떻게 사용되나요?
식용 식물성 기름의 안전성과 영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용 식물성 기름의 영양적 품질과 안정성의 효율적인 유지가 유 · 지방 산업의 핵심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로즈마리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로서 항산화 능력이 우수하여 지방 및 오일의 산화적 열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저장시간을 연장시켜 지방 및 오일의 양호한 유기성과 영양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고온 환경에서도 안정성이 우수하다.우리 인구는 주로 열가공을 통해 지방과 기름을 소비하기 때문에, 선천적으로 독성이 없고 고효율이며 고온에 잘 견디어 내는 로즈마리 추출물은 중국의 식용유에 이상적인 항산화제이다.본 연구는 천연 항산화제 로즈마리 추출물을 식용 식물성 유지에 적용한 결과를 요약하면, 식물성 유지의 로즈마리 추출물의 항산화 연구에 가치가 있다.
식용 식물성 기름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불포화지방산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지방산의 중요한 공급원이다.그러나 불포화지방산은 저장 및 열처리 과정에서 쉽게 산화되어 유질의 악화 및 유해물질 [1]이 생성된다.현재 중국의 소포장 식용식물성 기름은 신선도 보존을 위해 일반적으로 질소로 채워지거나 내인성 항산화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일정 기간 병을 개봉한 후 지방과 기름의 산화가 일어나지만, 중포장 이상 식용식물성 기름은 3차 부틸하이드로퀴논 (TBHQ)을 첨가함으로써 산화가 방지된다.TBHQ는 고품질 개발의 새로운 요구 사항과 부합하지 않는 기형 성 및 발암성 [2-3]의 위험을 가지고 있으므로, 안전하고 효율적인 천연 항산화제가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식용 식물성 기름에는 보통 토코페롤과 같은 영양화합물질이 미량 함유되어 있는데, 분자구조에는 활성 페놀성 하이드록실기가 함유되어 있어 지방이나 기름의 산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를 잡아낼 수 있어 항산화 능력이 있다 [4].토코페롤은 산화와 분해로 인해 가열된 기름과 지방에서 심하게 열화되어 항산화 능력이 저하되며 [5-7], 중국의 소비자들은 주로 튀김, 볶음 등 열가공을 통해 지방과 기름을 소비하기 때문에 중국의 식용 식물성 기름에 대한 안전하고 효율적이며 고온에 강한 항산화제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연구에 따르면 로즈마리 추출물은 천연적이고 독성이 없으며 효율적이며 고온에 강한 항산화제로 [8-9], 특히 열가공 유에서 항산화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10-11].본 논문에서는 식용 식물성 기름에 함유된 천연 항산화제의 활성 성분, 국내 및 국제 승인, 항산화 기전, 연구 진행 및 문제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로즈마리 추출물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is an evergreen aromatic small shrub of the genus Rosmarinus of the family Labiatae native to the Mediterranean region, also known as aiguille, sea dew, with an aromatic flavor, is an important medicinal and food plants, with thousands of years of cultivation and food history [12-14].
로즈마리 추출물은 로즈마리의 줄기와 잎을 원료로 사용하여 용매 추출이나 초임계 이산화탄소 추출로 얻는다. 로즈마리 추출물은 주로 플라보노이드, 테르페노이드, 페놀, 유기산 및 기타 물질 등 다양한 화학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항산화, 항균, anthelmintic 특성과 좋은 향 [15]을 가지고 있다.로즈마리 추출물에서 주요 항산화 성분은 실리마린 (silymarin), 람놀 (rhamnol), rosmarinic acid 이며 (그림 1 참조), 실리마린과 람놀 (rosmarinic acid)이 로즈마리 추출물의 항산화 성질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그 중 실리마린은 항산화 용량과 함량이 가장 높은 가장 강력한 활성 성분이다 [16-17].Sage acid와 rhamnol은 기름에 용해되며 지방과 오일의 산화를 방지하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습니다.
수많은 연구에 따르면 로즈마리 추출물은 매우 효과적이고 열에 강한 천연 항산화제이며, 3세대 식용 천연 항산화제로도 인정받고 있다 [18].로즈마리 추출물은 항산화성이 우수하며, 항산화 능력은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BHA),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BHT) 등 합성 항산화제에 비해 2-4배, 차폴리페놀에 비해 1-2배 높으며, 비타민 E보다 우수하고 TBHQ의 항산화 효과에 비할 수 있다.항산화 효과는 TBHQ에 필적하며 천연, 무독성, 고효율이며 고온에서 불안정한 대부분의 천연 항산화제의 약점을 극복한 240 ℃ 까지의 고온에도 잘 견디며, 특히 열가공유에 항산화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8-11,19].
항산화제로 로즈마리 추출물 국내외 승인 2
1994년에,로즈 마리 추출 received GRAS approval from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20] as a natural antioxidant with no safety risks and can be recommended for use; in 2010, the European Union Food Safety Commission approved rosemary extract as a safe and effective antioxidant [21]. In late 2018, Australia approved rosemary extract as a food additive [22]. In late 2018, Australia approved rosemary extract as an antioxidant for food additives. Nowadays, rosemary extract has been used in edible vegetable oils and oil-rich foods in developed countries and regions such as Japan and the European Union [22].
In 2014, China approved rosemary extract as a food additive antioxidant, and the national standard GB2760-2014 "National Standard for Food Safety, Standard for the Use of Food Additives" stipulated the scope of use and limited values, of which the maximum use level in edible vegetable oil was 0.7 g/kg. The national standard GB1886.172-2016 "National Standard for Food Safety, Food Additives, Rosemary Extract", which came into effect in 2017, stipulated that the content of total antioxidant components (in terms of Salvia divinorum acid and Salvia divinorum phenol) in rosemary extract was 0.7 g/kg. GB1886.172-2016 "National Standard for Food Safety Food Additives Rosemary Extract" stipulates that the content of total antioxidant ingredients in rosemary extract (in terms of Salvia divinorum acid and Salvia divinorum phenol) should not be less than 10%, and the content of rosemarinic acid should not be less than 5%.
로즈마리 추출물의 항산화 메커니즘 3
로즈마리 추출물은 지방성 항산화제로 유니선 산소, 히드록시기, 지질과산화기를 제거하여 지질과산화와 생물막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3].로즈 마리 수산기 추출 두 가지 그룹의 주요 구성 요소 주변 위치에 벤젠에 반지, semiquinone 구조의 형성에 도움이 되는 산화 반응이 끝 난 후,과 큰 τ 모노 전자 형태-bonds 벤젠 반지와 함께 공명을 통해 효과, 그래서 그 semiquinone의 구조 가 더 안정 적이, 그리고 quinone의 구조 가 더 안정 된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수산 그룹이 산화 [23].
따라서 로즈마리 추출물은 항산화 능력이 높다.로즈마리 추출물에는 또한 테르페노이드, 페놀성 하이드록시기, 불포화 이중결합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잡아내고 식물성 기름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다 [24].일부 디테르페노이드는 구조적으로 안정하여 고온에서 쉽게 휘발되거나 분해되지 않는다.따라서 로즈마리 추출물은 항산화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식용 식물성 기름에서 열 안정성이 높다.
식용 식물성 오일 연구에 로즈마리 추출물 적용 4
단일 항산화제로 4.1로즈마리 추출물
Zhang 등은 로즈마리 추출물이 가속저장 중 해바라기유의 지질산화에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저장 중 해바라기유의 유리지방산, 과산화물 및 anisidine 값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항산화 효과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BHA [3]보다 우수했다.류충하 등은 로즈마리 추출물과 화학적 항산화제를 첨가하여 20 d 동안 63 ℃에서 저장한 후 가드니 오일에 첨가한 효과를 비교한 결과, 로즈마리 추출물의 첨가는 가드니 오일의 conjugated dienes와 과산화물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고, DPPH 활성산소의 감소와 ABTS 활성산소 소거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었으며, 화학적으로 합성된 항산화제인 BHA+BHT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25].25].
진 씨 등은이 같은 사실을 조사했다 antioxidant properties of rosemary extract and a mixture of TBHQ, ascorbyl palmitate and citric acid in the formation of 4-hydroxy-2-trans-nonenal (HNE) in corn oil heated for 6 h at 185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ixture of TBHQ, ascorbyl palmitate and citric acid reduced the formation of HNE by 27% after heat treatment of corn oil for 6 h, while the rosemary extract reduced the formation of HNE by 29% under the same conditions[26] . The results of Yang et al. showed that the addition of rosemary extract increased the scavenging capacity of DPPH and ABTS radicals in soybean oil, rice bran oil and cottonseed oil during the storage process, significantly prolonged the oxidation induction period of the oils and reduced the loss of unsaturated fatty acids, suggesting that rosemary extract can be used as an antioxidant for the oxidation of oils and fats. This suggests that rosemary extract can effectively improve the antioxidant capacity of oils and fats during storage [27].
이상의 연구결과 로즈마리 추출물은 식물성 유지의 불포화 지방산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늦출 수 있으며, 자유 라디칼 소거능에서 효과가 뚜렷하여 유지와 지방에서 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고, 항산화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더욱이 고온 환경에서 로즈마리 추출물은 식물성 오일의 산화를 현저히 늦추고, 영양소의 손실을 줄이며, 식물성 오일의 유통기한을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4.2로즈마리 추출물과 다른 항산화제의 혼합
Ibsch는 ascorbyl palmitate와 병용한 로즈마리 추출물이 합성항산화제인 BHA 및 BHT보다 우수한 항산화성을 보였으며, 고온에서도 합성항산화제인 BHA 및 BHT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콩기름의 산화속도를 효과적으로 늦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양진팡 등은 비타민 E, 로즈마리 추출물 및 차폴리페놀을 880, 690, 340 mg/kg 수준으로 첨가하였을 때 호두유의 안정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유통기한은 대조구 호두유에 비해 5.6배 길었다고 밝혔다 [29].
Wang et al. found that the induction period of sunflower oil was 3.63 and 1.91 times higher than that of rosemary extract and teat polyphenol palmitate alone at a ratio of 5:3, which was confirmed by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scopy (ESRS) analysis, and this wa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combination of antioxidants greatly reduced the number of free radicals involved in the oxidation of the oils and fats [30]. Wei Jianlin et al. showed that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tea polyphenol palmitate and rosemary extract were synergistic, and when tea polyphenol palmitate was 0.45 g/kg and rosemary extract was 0.15 g/kg, they had the strongest antioxidant properties in sunflower oil, and the effects of slowing down the acidity and peroxide were similar to those of TBHQ and better than those of BHA and BHT, while their effects of slowing down the increase of malondialdehyde were better than those of TBHQ [31]. The ability to slow down the rate of increase of malondialdehyde content was better than that of TBHQ [31]. Wang Kai et al. found that the combination of rosemary extract and tea polyphenol palmitate showed the best synergistic effect, which effectively prolonged the oxidation induction time of sunflower oil, efficient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oxidation products, and reduced the generation of heating volatile products [32].
이상의 연구결과 로즈마리 추출물은 다른 항산화제와 병용하여 항산화능을 증가시키고, 고온 환경에서 휘발물의 생성을 감소시키며, 좋은 유기성 및 영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로즈마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단일 항산화제로서 뿐만 아니라 식물성 기름의 다른 항산화제와의 병용에서도 양호한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용 식물성 기름에 로즈마리 추출물 사용시 문제점 5.
로즈마리 추출물과 다른 항산화제와의 상호작용 5.1
Zhao et al. found a synergistic effect of rosemary extract and TBHQ in antioxidant activity based on the changes in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in radish seed oil. The antioxidant effects of 0.01% rosemary extract and 0.01% TBHQ complex were superior to those of 0.07% rosemary extract and 0.02% TBHQ, respectively[33] . Jaswir et al. demonstrated that by comparing the changes in fatty acid content during frying of palm oil, rosemary extract had a good synergistic effect with citric acid, and the retention of essential fatty acids was optimal in palm oil. In the same study, Malihe et al. found that rosemary extract and citric acid significantly delayed the oxidation of olive oil and increased the oxidative stability of olive oil showing synergistic effects[34-35] .
Hras et al. 해바라기의 항 산화 용량을 다는 것을 발견 기름에 저장 된 60 ℃ 과산화수소에 의해 특징이 되었고 anisidine 값, 로즈 마리의 항 산화 용량을 추출 물을 첨가 효과를 보였을 때 synergized 구연산과 ascorbyl palmitate, 각각, 그리고 적대적인 효과를 사용 할 때 α와-tocopherol [36].Hwang 등은 콩기름에서 아미노산과 천연 항산화제의 상호작용을 연구하였다.Hwang 등은 콩기름에서 아미노산과 천연 항산화제와의 상호작용을 조사하고 항산화 능력을 폴리글리세라이드와 활성산소의 측면에서 특징지었으며, methionine은 첨가제 효과를, lysine은 콩기름에서 로즈마리 추출물과 길항효과를 보였다 [37].
상기 연구에 따르면 로즈마리 추출물이 다른 항산화제와 함께 작용하면 두 가지 효과를 나타낸다:하나는 식물성 기름에서 항산화 능력을 향상시켜 시너지 효과를 가지며 효과적으로 지방과 기름의 산화를 늦춘다;그리고 다른 하나는 식물성기름에서 그것의 항산화능력을 억제하고 항산화효과를 감소시키는것이다.따라서 로즈마리 추출물과 다른 항산화 물질과의 상호작용 기작 및 식물성 오일의 산화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보다 깊은 관점에서 분석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식용 식물성 오일의 항산화 공정에서 로즈마리 추출물의 형질 5.2
로즈마리 추출물의 주요 항산화 성분은 실리마린으로, 자체 하이드록시기가 제공하는 수소 원자를 통해 산화적 연쇄 반응을 방해함으로써 오일이 산화되지 않도록 보호한다.소모되면 람놀과 다른 중간체 [38]로 분해된다.람놀은 항산화 능력이 있는 지용성 물질이지만 그 중간체가 항산화 능력도 있는지, 인체에 유해한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없다.
6 결론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이 확산되면서 인체에 안전 위험이 없는 천연적이고 건강한 항산화제가 소비자들의 사랑을 점점 더 받고 있다.천연 항산화 제로서 로즈마리 추출물은 식용 식물성 기름에서 상당한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고온 조건에서도 여전히 좋은 항산화 효과를 발휘합니다.그러나 식용 식물성 기름의 항산화 과정에서 로즈마리 추출물과 다른 항산화제와의 상호작용 및 이들의 변형은 관심과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하다.
근년래, 중국의 로즈마리 재배규모가 갈수록 커짐에 따라 식용식물유 산업에서 로즈마리 추출물이 항산화제로 신속히 발전하도록 촉진했으며 이는 광범위한 응용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식용식물유 산업이 피플&을 더 잘 충족하도록 이끌어줄 것으로 기대된다#39;는 안전하고 영양이 풍부하며 건강한 소비 업그레이드에 대한 요구와 " 양질의 곡물 프로젝트"의 내용을 풍부히 할 것.
참조:
[1] CHOE E, MIN D B. 식용유 산화의 기전 및 요인 (J.식품과학과 식품안전, 2006, 5:169-186.
[2] HOU D X. 안토시아닌 (J)에 의한 암 화학 예방의 잠재적 메커니즘.현분자의학, 2003, 3:149-159.
[3] ZHANG Y, YANG L, ZU Y G, 외.가속저장 중 합성항산화제에 비해 카르노산염으로 보충된 해바라기유의 산화적 안정성 [J. 식품화학, 2009, 118(3):656-662.
[4] 류 R J, 루 M Y, 장 T 등.식물성 기름에 따른 미량영양소의 항산화특성 평가 (J.European Journal of Lipid Science and Technology, 2020, 122:1900079.
[5] 우 G C, 창 C, 홍 C C 등.튀김조건에서 기름의 안정화제 및 항산화기작으로서 페놀성 화합물:종합적 고찰 [J.식품과학기술동향, 2019, 92:33-45.
[6] 탄노 R, 카토 S, 시미즈 N 등.α의 산화 제품 분석-tocopherol 올리브 오일 엑스트라 버 진에 액체를 사용 하여 chromatography-tandem 질량 분석다 [J다]식품화학, 2020, 306:125582.
[7] 당 C H,도 G J, 왕 Y 등.α의 식별-tocopherol과 산화 하여 제품 ultra-performance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과 맞물 려 quadrupole time-of-flight 질량 분석다 [J다]한국농식품화학학회지,2020, 68:669-677.
[8] XIE J, VAN ALSTYNE P, YANG X. A review on rosemary as A natural antioxidation solution[J. European Journal of Lipid Science and Technology, 2017, 119:1600439.
[9] ALADEDUNYE F, PRZYBYLSK R, MATTHAUS B. 튀김 조건에서의 항산화 화합물의 성능:a review[J]. 식품과학영양학 (Critical Review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17, 57:1539-1561.
[10] CHAMMEM N, SAOUDI S, sifaouii 외.로즈마리 추출물 첨가에 의한 튀김조건에서의 식물성 유질 개선 (J.산업작물 및 제품, 2015, 74:592-599.
[11] 구 Q, 가오 S, 태양 Y 등.튀김 중 팜유 내 로즈마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및 저장 촉진 (J.산업작물 및 제품, 2016, 94:82-88.
[12] 알렉산더 W, 엘로디 P, 자말 C 외.DPPH assays로 결정한 Rosmarinus officinalis L. 잎으로부터 hydro 증류수 잔류물의 항산화 활성 (J. Comptes Rendus Chimie, 2016, 19(6):754-765.
[13] SABBAHI M, EI HASSOUNI A, TAHANR A. 작곡 rosemary's 에센셜 오일과 탈신트 (모로코) 지역에서 고도인자 (J)를 중심으로 항산화 활성.폴란드 자연과학 저널, 2020, 35(2):219-231.
[14] 장 H B. 육류 조리시 로즈마리 적용에 관한 연구 (J.중국조미료, 2013, 38(8):117-120.
[15] HE L W, FU C Q YAO S 등이 있다.로즈마리 추출물의 유효성분 및 약리학적 효과에 대한 간략한 소개 [J.저장농학회 논문집 2020, 61(10):2068-2073.
[16] 아루오마 오아이, 할리웰 B, 아이슈바흐 R 외.활성 로즈마리 성분의 항산화 및 친산화적 특성:carnosol과 carnosic acid.이종바이오티카 (Xenobiotica), 1992, 22(2):257-268.
[17] BIRTIC B, DUSSORT P, PIERRE F X 외.Carnosic 산 [J]다.Phytochemistry, 2015, 115:9-19.
[18] 쇼오 J L, 동 B S,리 Q W 등.rosemary의 산물 저장시 항산화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항산화 effect of the rosemary in the products of toona sinensis roem[J])중국 식품 첨가물, 2009(4):86-88.
[19] LI P J. rosemary-based 항산화 물질이 프렌치 프라이 딥 프라이 중 유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semary-based 항산화 물질이 프렌치 프라이 딥 프라이 중 유질에 미치는 영향).지난 대학, 2020.
[20] DU J Q, XU H, CAO Y 등.로즈마리 추출물의 항산화특성과 사용공정에서의 문제점 (J. 식품산업과학과 기술, 2011, 32(7):467-469+473.
[21] 유기물 생산, 라벨링 및 제어에 관한 위원회 규정 (EC) No 834/2007의 시행을 위한 세부 규칙을 규정하는 규정 (EC) No 889/2008개정:(EC) No 344/2011[S].http://news.foodmate.net/2018/07/476735.html다.
[22] 정 Q A. 로즈마리 (J.웨이팡대학 논문집 2010, 10(4):95-98.
[23] WANG Y D, YAO X L, XIAO Q L 등.로즈마리 에센셜 오일과 마조람 에센셜 오일의 화학성분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J Study o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항산화 activity of rosemary essential oils and marjoram essential oils[J]중국조미료, 2021, 46(1):135-141.
[24] 류 에프엑스, 왕이, 슈지 등.가드니아 오일의 리포솔루블 로즈마리 물질의 항산화.China Oils and Fats, 2019, 44(1):101-104.
[25] 진 W, 슈맨 D W, 슈클라비제이 K S 외.튀김온도에서 열처리된 옥수수기름에서 항산화제에 의한 독성알데히드 형성물질인 4-hydroxy-2-transnonenal (HNE)의 지연 [J. 식품영양학, 2020, 11(7):669-683.
[26] 양 Y, 송 X X, 수 X 엔 외.로즈마리 추출물은 식물성 오일의 산화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합성 항산화제로 사용될 수 있다.산업작물 및 제품, 2016, 80:141-147.
[27] IBSCH R B M, REITER M G R, BERTOLI S L 외.pet 병에 포장된 대두유의 TBHQ를 대체하기 위한 순수 및 복합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 (J. 한국식품과학회지 2020, 57(3):821-831.
[28] YANG J F, PENG D, CHEN M Y 등.복합 천연 항산화제가 호두유의 항산화능 및 유통기명에 미치는 영향. 허난대학 [河南大學, Henan University of Technology
(자연과학 편), 2021, 42(5):64-69.
[29] 왕 K, 정 Z J, 류 C H 등.시너지 항산화제의 규명 및 정량 및 해바라기유의 응용 (J.LWT-식품 과학 기술, 2020, 118:108726.
[30] 웨이 J L, 주오 W J, 민 G 외.해바라기 오일에 대한 tea polyphenols palmitate와 로즈마리 추출물 복합 항산화제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곡물 저장고, 2018, 47(5):39-43.
[31] 오일에 대한 로즈마리 추출물과 차폴리페놀 팔미테이트의 시너지 상호작용 연구 (WANG K. 장난대학교, 2020.
로즈마리 추출물과 TBHQ 가 무 씨유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32) ZHAO J L, LI B, GUO Y C. 파키스탄 화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6년, 38(4):631-637.
[33] JASWIR I, MAN Y B C, KITTS D.의 시너지 효과 (Synergistic effects of rosemary, sage, and citric acid on fatty acid of palm olein during deep-fat fried) 미국 석유화학저널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 '사회, 2000, 77(5):527-533.
[34] 말리헤 K, 타기 G M, 마흐무드 A 외.비교
bunium persicum과 rosmarinus officinalis essential oils의 산화에 미치는 영향 및 citric acid 와의 시너지 효과 (effect of citric acid on the oxidation of virgin olive oil)국제식품속성학회지, 2016, 19:2666-2681.
[35] HRAS A R, HADOLIN M, KNEZ Z 등.antioxidative의 시너지 효과의 로즈 마리 추출 물을 비교 α-tocopherol, ascorbyl palmitate과 구연산 해바라기 기름에다 [J다]식품화학, 2000, 71:229-233.
[36] HWANG H S, WINKLER-MOSER J K, LIU S X. 튀김온도에서 아미노산의 항산화 활성과 로즈마리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ascorbic acid 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J.한국식품과학회지, 2019, 84:3614-3623.
[37] 식물성 기름을 이용한 로즈마리 잎으로부터 지용성 항산화제의 추출 GINSBURG S R, MALEKY F.한국식품과학회지 2020년, 55:3135-3144.